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9화. 데미지 공식 (2024년 5월 개정판)

 


림버스 컴퍼니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9화. 데미지 공식



 지난 시간에는 공격 레벨과 방어 레벨에 대해 배웠다. 공격 레벨이 높을수록 합 위력이 증가하고, 공격 레벨과 방어 레벨의 차이가 클수록 데미지가 증감한다.

 이번 시간에는 림버스 컴퍼니의 데미지 공식에 대해 알아보자.


1. 데미지 공식

 림버스 컴퍼니의 데미지 공식은 아래와 같다. 출처는 이 글이다.


(스킬 위력 + 고정 스킬 피해량 증감값) x (1 + 공격 유형 내성 증감값+ 죄악 속성 내성 증감값 - 공격 레벨, 방어 레벨 차이 증감값 + (치명타 시) 0.2 + 합 횟수 x 0.03) x (스킬, 패시브, 버프, 디버프에 의한 증감(합연산)) + 고정 피해량 증감값(합연산)


 오픈 당시 코드가 암호화되지 않아 클뜯을 통해 데미지 공식을 알아냈었다. 이후 코드가 암호화되어 코드를 알아내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데미지 공식은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으니 맹신하지는 말고 참고만 하자(실제로 종종 들어맞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럼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자.


(1) 스킬 위력

 스킬 위력은 공격 진행 시 코인 토스를 통해 결정된 스킬 위력이다. 위력 증가 버프, 위력 감소 디버프는 여기에 영향을 끼친다.


(2) 고정 스킬 피해량 증감값

 ‘피해량 증가 +1’ 같이 고정값만큼 스킬의 위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값이다. 코드에는 존재하지만 현재 게임에서 발견할 수는 없다.


(3) 공격 유형 내성 증감값

 공격 유형 내성에 따라 결정되는 증감값이다. 취약이면 1, 약점이면 0.5, 보통이면 0, 견딤이면 -0.25, 내성이면 -0.5이다.

 흐트러짐 상태일 경우 1로 고정된다. 흐트러짐+ 상태면 1.5, 흐트러짐++ 상태면 2로 고정된다.


(4) 죄악 속성 내성 증감값

 죄악 속성 내성에 따라 결정되는 증감값이다. 공격 유형 내성 증감값과 같다. 다만 흐트러짐 상태와는 상관 없다.


 대부분의 게임은 데미지 감소는 곱연산으로 계산한다. 그 이유는 데미지 감소를 합연산으로 계산하면 ‘피해량 -100%’ 같은 상황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림버스 컴퍼니의 공격 유형, 죄악 속성 내성 증감값은 모두 합연산으로 계산된다. 만약 공격 유형과 죄악 속성 내성이 둘 다 내성이면 피해량이 -100%가 된다.


 그러나 피해량이 -100%가 되는 경우는 잘 없다. 보정값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내성으로 인해 피해량이 -100% 가까이 될 경우, 내성이나 견딤의 데미지 감소량이 2배로 낮아진다. 즉 내성은 -0.25, 견딤은 -0.125를 더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슬라이드를 참고하자.


(5) 공격 레벨, 방어 레벨 차이 증감값

 공격자의 공격 레벨, 피격자의 방어 레벨 차이에 따른 증감값이다. 공격 레벨이 더 높으면 데미지가 증가하고, 방어 레벨이 더 높으면 데미지가 감소한다. 계산법은 지난 화에서 알아보았듯 (방렙 - 공렙) / |(방렙 - 공렙)| + 25 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지난 화를 참고바란다.


(6) 치명타 시 0.2

 호흡 버프에 의해 치명타 발생 시 0.2가 더해진다. 즉 림버스 컴퍼니의 치명타는 데미지가 1.2배이다. 호흡 인격/에고/에고 기프트는 이 치명타 데미지를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많다.


(7) 합 횟수 x 0.03

 합 횟수 당 데미지가 3% 증가한다. 3번만 합을 해도 데미지가 9% 증가하므로 생각보다 데미지 증가량이 크다.


(8) 스킬, 패시브, 버프, 디버프에 의한 증감

 스킬의 조건부 % 피해량 증감 효과, 패시브/서포트 패시브에 의한 % 데미지 증감 효과, 취약/피해량 증가/보호와 같은 % 데미지 증감 버프/디버프 등이다.

 여기도 피해량 감소가 합연산으로 계산되므로 피해량 -100%를 찍어서 데미지를 안 받는 변태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만 여기에도 보정값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취약 디버프에 대해 짚고 가자. 취약은 (수치) * 10% 만큼 받는 데미지가 증가하는 디버프이다. 림버스 컴퍼니에서 가장 중요한 디버프를 뽑자면 취약이라고 할 수 있다.

 R사 히스클리프가 출시 때부터 지금까지 1티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도 이 취약 덕분이다. 빠른 속도로 취약을 4나 부여한 뒤, 높은 코인값으로 극딜을 넣는 것은 물론, 뒤따르는 다른 아군들도 데미지가 +40% 증가한 채 공격을 넣어 딜이 어마어마하다.

 뉴비는 속도가 빠른 아군으로 취약을 부여하여 공격하는 법을 익히도록 하자.


(9) 고정 피해량 증감값

 최종 데미지에 더해지는 고정 피해량이다. 코드에는 존재하지만 게임에서 발견할 수 없다.



 데미지 공식은 매우 복잡하므로 자세히 알 필요는 없고, 피해량 감소 효과가 합연산으로 계산되어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는 사실만 기억하면 된다.




2. 피해량 증감 확인하기

 전투 중에 피해량 증감이 얼마나 되는지 쉽게 확인 가능하다. 공격 지정 중 상단 스킬 아이콘 위에 노란색으로 +100%라고 써진 것이 바로 피해량 증감값이다. 아마 치명타 데미지와 합 횟수에 따른 데미지 증가를 제외한 값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공격하기 전에 데미지 증감량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다. 다만 처음 만나는 적이어서 내성 정보를 모를 경우 ???로 표시된다.



요약

  1. 피해량 감소가 합연산이어서 성능이 좋다.

  2. 취약은 (수치) * 10% 만큼 받는 피해를 증가시키는 디버프다.

  3. 공격 지정 시 화면 상단에서 피해량 증감값을 알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수비 스킬’에 대해 배우도록 하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1화. 합과 공격 (2024년 5월 개정판)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2화. 내성 (2024년 5월 개정판)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3화. 일반 전투와 집중 전투, 합 뺏기 (2024년 5월 개정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