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7화. 덱의 종류와 덱 만드는 법 (2024년 5월 개정판)

 



림버스 컴퍼니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7화. 덱의 종류와 덱 만드는 법



 지난 시간에는 경던, 끈던, 거던을 통해 좋은 인격을 얻고 육성하는 법에 대해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덱의 종류와 덱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1. 덱의 종류

 림버스 컴퍼니의 덱은 크게 2종류가 있다. 굿스터프덱컨셉덱이다.


 굿스터프덱은 인격 간의 시너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고, 성능이 좋은 인격을 위주로 구성한 파티를 뜻한다. 쉽게 생각하자면 무지성으로 1티어 인격을 때려박은 덱이다.



 컨셉덱은 특정 인격이나 에고, 키워드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덱이다. 스킬 간의 시너지가 중요하여 컨셉덱을 제대로 굴리기 위해서는 손컨이 반필수적이다.


 뉴비 입장에서 굿스터프덱과 컨셉덱을 비교했을 때, 굿스터프덱이 성능이 더 좋다. 그 이유는 합만 이기면 장땡인 어찌보면 단순한 전투 시스템 때문이다. 또한 제대로 된 컨셉덱을 맞추는 데 시간이 많이 들 뿐더러, 스토리를 밀 때 효과가 좋지도 않다. 뉴비는 우선 굿스터프덱 하나를 완성해야 한다.

 컨셉덱은 에고 기프트가 있는 거울 던전이나, 핵심 인격/에고가 맞춰졌을 경우 제 성능이 나온다. 거울 던전은 에고 기프트의 존재 덕분에 굿스터프덱보다 컨셉덱이 더 좋다. 나중에 인격풀이 늘어나고 재화에 여유가 생긴다면 성능 좋은 컨셉덱을 완성해나가자.



2. 덱 만드는 법

 뉴비는 인격풀이 좁기 때문에 사실상 굿스터프덱 말고는 선택지가 없다. 처음에는 인격풀이 좁아 굿스터프덱을 굴리지만, 점점 인격풀이 넓어지면서 뭔가 제대로된 덱을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생길 것이다. 그렇기에 덱을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운영하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덱을 만드는 법은 굿스터프덱이나 컨셉덱이나 같다.

  1. 중요 인격을 2-4명 넣는다.

  2. 중요 인격을 서포트할 인격을 0-2명 넣는다.

  3. 탱커를 0-2명 넣는다.

  4. 자원 수급용 인격을 0-1명 넣는다.

 여기서 중요 인격이란 합을 이기고 딜을 넣을 딜러 또는 컨셉덱의 핵심을 맡는 인격을 뜻한다.

 서포터의 역할은 아군의 체력/정신력을 회복시키거나, 아군에게 버프를 부여하거나, 적에게 디버프를 부여하는 것이다. 서포터는 넣어도 되고 안 넣어도 된다. 서포터를 넣을 바에는 그냥 합 잘 이기는 딜러를 하나 더 넣는 게 훨씬 효율적일 수도 있다. 다만 컨셉덱을 만들 때는 특정 에고 기프트에 ‘xx 키워드 인격 x명 이상 편성 시’ 같은 조건이 있거나, 딜러를 많이 넣을 경우 컨셉이 흐려질 우려가 있어 딜러를 빼고 서포터를 넣는 경우가 많다.

탱커는 적의 공격을 자신에게 끌어와 딜러가 딜을 편하게 넣도록 해주는 역할이다. 모든 공격에 합을 하려고 하면 딜이 분산된다. 또한 예기치 못하게 아군이 죽는 상황도 종종 나온다. 탱커를 파티에 넣으면 훨씬 안정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수비 스킬을 잘 활용해서 탱커를 써보자.

 자원 수급용 인격은 특정 패시브나 에고를 사용하고 싶다면 넣어야 한다. 자원이 넉넉하다면 넣을 필요 없다.



3. 좋은 덱의 조건

 덱을 만들 때 확인해야 할 조건이 있다. 좋은 덱, 쓸만한 덱이 되기 위해서는 아래의 4가지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1. 합을 잘 이기는가?

  2. 데미지가 높은가?

  3. (선택) 죄악 자원을 잘 모으는가?

  4. (선택) 패시브를 잘 발동하는가?

 첫 번째로 합을 잘 이겨야 한다. 이 게임에서 합을 이기는 건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합을 이겨야 데미지를 입힐 수 있고,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레벨이 높은데도 계속 합에서 진다면, 합 승률이 낮은 인격을 빼고 합을 잘 이기는 인격을 넣자. 어떤 인격이 합을 잘 이기는지 모르겠다면 커뮤니티에 질문하자.

 두 번째로 데미지가 높아야 한다. 파티에 딜러가 적으면 합은 잘 이겨도 딜이 안 나온다. 특히 공격 유형이나 죄악 속성이 한쪽에만 치우쳐져 있으면 적의 내성에 따라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로 죄악 자원을 잘 모아야 한다. 죄악 자원은 패시브를 발동시키고, 에고를 사용하는 데 필요하다. 특히 에고를 자주 사용하는 덱인데 죄악 자원을 제대로 못 모은다면 덱을 고쳐야 한다. 에고가 중요한 덱이라면 합 승리를 조금 포기하고 자원 수급용 인격을 넣는 게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네 번째로 패시브를 발동하기 쉬워야 한다. 공명 패시브를 발동하는 게 중요한 덱이라면 이를 유의하여 덱을 짜야 한다. 쥐는 자 파우스트를 기용한 덱인데 파우스트 말고 색욕 스킬을 가진 인격이 없다면? 쥐는 자 파우스트의 포텐셜이 절반은 줄어든다. 쥐파우를 쓰려면 색욕 스킬을 가진 인격을 많이 데려가야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4. 덱 만들기 예시

 실제로 덱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어 이해를 돕도록 하겠다.

 이 게임은 모든 인격과 에고를 모아 보는 기능이 없다. 수감자 각각의 인격, 에고를 정렬해서 볼 수는 있어도, 전체 인격/에고 보기가 없다. 그래서 게임 내에서 덱을 짜기 쉽지 않다.

 고인물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엑셀을 이용해서 덱을 짜는 시트를 만들었다. 림버스 파티메이커, 림버스 조합 시트, 림버스 컴퍼니 덱메이커 등 다양한 시트가 있으니 편한 걸로 사용하면 된다.


 이제 덱을 만드는 예시를 보여주겠다. 어떤 생각을 하며 덱을 만들어가는지를 위주로 읽길 바란다. (2시즌 때 작성했음을 참고 바람)

 림버스 컴퍼니의 영원한 슈퍼스타 여우비 히스클리프 덱을 만들어보자. 뉴비는 인격풀이 좁으므로 여우히스를 제외한 나머지 인격은 2성으로 구성하겠다.

 여우비 히스클리프는 딜탱 인격으로, 마이너스 코인 스킬을 지녔다. 자기 자신에게 침잠을 쌓아 정신력을 낮추고, 쌓아둔 침잠을 소모하여 딜을 넣는다. 많이 맞아야하므로 체력 회복이 필요할 것이다. 여우 히스는 합 승률이 낮아서 합을 이겨줄 인격도 필요하다. 히스클리프의 에고는 여우 히스와 시너지가 좋다. 에고를 난사하는 컨셉도 좋아 보인다. 그렇다면 자원 수급용 인격도 많이 필요하다. 또한 여우 히스는 슬롯이 1개면 굉장히 힘들다. 따라서 4인 파티를 짜서 여우히스가 슬롯이 2개를 갖도록 하겠다.

 즉 이 덱의 컨셉은 ‘에고 난사 여우히스 4인 파티’ 덱이다. 필요한 인격은 회복기가 있는 인격, 합 승률이 높은 인격, 자원 수급용 인격이다.


 덱의 컨셉이 정해졌으니 시트에서 덱을 만들어보자.

 히스클리프의 에고를 보니 분노, 색욕, 우울, 질투가 필요하다. 히스클리프의 스킬은 질투/우울/나태/분노(반격)이다. 1스킬과 반격은 보통 자원 수급이 어렵다. 따라서 분노, 색욕, 질투를 수급할 인격이 필요하다.


 시 협회 돈키호테가 세 죄악을 모두 갖고 있다. 시돈키를 파티에 넣자.

 이제 회복기가 필요하다. 회복 에고는 파우스트의 물주머니뫼르소의 집행이 있다. 집행은 나태 자원이 많이 필요하다. 현재 파티는 나태 자원 수급이 힘들다. 따라서 파우스트의 물주머니를 선택하자. 자원 수급이 괜찮고, 합도 잘 이기며, 데미지도 높은 로보토미 직원 파우스트를 채용하자.

 파우스트의 표상 방출기는 아군의 정신력을 회복시키는 에고다. 여우히스는 정신력 관리가 중요하므로 표상 방출기도 사용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탐식과 오만 자원이 없다. 마지막 파티원은 탐식과 오만을 수급하는 인격으로 하자.


 탐식과 오만을 가진 2성 인격은 이렇게 4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합 승률이 높은 인격은 세븐 료슈이지만, 나태 자원은 필요가 없으므로 그 다음으로 합 승률이 높은 홍적 싱클레어를 채용하겠다.


 이렇게 4인 여우비 히스클리프 2성 덱이 만들어졌다. 참격, 관통, 타격의 비율도 적절하고, 필요한 죄악 자원도 넉넉하게 수급 가능하다.


 덱을 만들었다면 성능을 확인할 차례다. 보통 덱의 성능은 3장 던전, 4장 던전, 거울 던전에서 확인한다. 이 덱은 4인덱이므로 3장 던전에서 성능을 체크하면 될 것이다.

 성능을 확인해보고, 아쉬운 점을 보완하여 덱을 고쳐나가면 된다.

 이 덱을 돌려보니 표상 방출기를 안 쓰고, 합을 져서 손해를 보는 일이 많았다. 그리고 여우히스는 2스킬을 조건이 맞지 않으면 잘 안 쓰다 보니 우울 자원이 매우 부족했다. 따라서 홍적 싱클레어를 LCCB 이스마엘로 교체하여 보완하였다.




요약

  1. 덱의 종류는 굿스터프덱, 컨셉덱이 있다.

  2. 덱을 만들 때는 중요 인격, 서포터 인격, 자원 수급 인격을 고려한다.

  3. 좋은 덱의 조건은 합을 잘 이기고, 데미지가 높고, 죄악 자원 수급이 좋고, 패시브를 잘 발동시키는 덱이다.



이번 시간에는 림버스 컴퍼니의 덱의 종류와 덱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격풀이 꽤 넓어졌다면 직접 덱을 만들어서 굴리는 재미를 느껴보자.

 다음 시간에는 전투 시스템 (심화)의 첫 번째, ‘공격 레벨과 방어 레벨’로 찾아오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1화. 합과 공격 (2024년 5월 개정판)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2화. 내성 (2024년 5월 개정판)

신입 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3화. 일반 전투와 집중 전투, 합 뺏기 (2024년 5월 개정판)